아우라지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인 정선 아리랑 애정편 가사의 주요 무대가 되는 곳으로
평창 발왕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송천과 중봉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골지천이 합류하여
어우러진다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자연적 배경에서 송천을 양수(陽水) , 골지천을 음수(陰水)라 부르며
여름 장마시 양수가 많으면 대홍수가 나고, 음수가 많으면 장마가 끊긴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남한강 천리 물길을 따라 목재를 서울로 운반하던 뗏목터로
조선말 대원군의 경복궁 중수시 사용되던 많은 목재를 떼로 엮어 한양으로 보냈다 하며,
이때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뗏꾼들의 아리랑 소리가 끊이지 않았던
숱한 애환과 정환을 간직한 유서깊은 곳이라 한다.

또한 님을 떠나 보내고 애닯게 기다리는 여인의 마음과
장마로 인하여 강을 사이에 두고 만나지 못하는 남녀의 애절한 사연이 정선 아리랑 가사에 녹아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예전에는 섶다리도 있었다고 하는데 장마때문에 유실되서 그런지 지금은 돌다리밖에 없다.

정선선 아우라지 역에 정차하고 있는 열차!!
예전에는 구절리역까지 다녔지만 지금은 아우라지역까지밖에 가질 않는다.
서울에서 가는 기차는 청량리역에서 오전 7시50분 딱 한편성밖에 없다.


돌다리를 건너게 되면 아우라지 처녀상과 정자 여송정을 만나게 된다.


봉산에서 흘러내려온 골지천...

그 옆을 지나가는 풍경열차... 


나무에 기대고 누워 강을 바라보고 있기만 해도...
생각만 해도 안구가 정화되는 느낌이다.

우리에게는 신기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하지만
이런 곳에서는 돌다리로 건너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들...

아우라지의 명물!! 아우라지호...
옛날에는 저 배 아니면 건너지 못했다고 하는데...
정선 아리랑에 나오는 아우라지 뱃사공이 아니었으면
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두 남녀의 애절한 사랑은 없었을터..

정선읍 애산리 일원 10,503평 부지에 정선의 옛 주거문화를 재현한 아라리촌이 있다.
전통와가와 굴피집, 너와집, 저릅집, 돌집, 귀틀집의 전통가옥 6동과 주막, 토속매점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지금은 보기 드문 물레방아와 통방아, 연자방아, 서낭당, 농기구공방, 방앗간 등의 시설도 볼 수 있다.


 

 물이 비교적 풍부한 마을에서는 물레방아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탈곡이나 정미 또는 제분에 이용되었다고 한다. 

  통방아 또는 구유방아라고 한다. 구유에 물이 가득차면 그 무게로 기울어지면서
 
반대쪽에 있는 공이 쪽을 쳐들게 되고,
 
구유의 물이 쏟아지게 되면 구유가 올라가고 반대쪽의 공이가 내려가면서
  방아를 찧게 된다고 한다.
 
자연의 원리를 활용한 조상의 지혜를 엿볼 수가 있다.  

 

 

  방문할 때에 정선에는 아리랑 축제가 열렸었다,
 
아마도 정선 아리랑 축제의 일환으로 전통혼례의 예식을 재현한 모습인 것 같았다.

 

  양반가의 전통가옥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진 전통와가...


    절구통도 보인다.
  
절구는 안장맷돌과 더불어 곡물을 빻는 최초의 수단이었다고 한다.
  
방아에 비해서는 원시적이지만 인력이 부족하거나
   소규모의 곡물 생산을 하는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물을 퍼올릴 수 있도록 우물의 모습도 재현해 놓았다.


  이곳에서는 이 모습도 참 자연스러워 보인다.
  오히려 자동차와 앰프가 이상하게 보일 정도다.

 

 

   실제로 주막도 운영하고 있다. 구수한 냄새가 여기까지 진동을 한다.
  
이런 곳에서 먹으면 더 맛있을 거야!!!


  고풍스러운 돌담...

   돌집으로 정선 지방의 독특한 가옥 형태라고 한다.
  
얇은 판석을 두께 2센티미터 정도의 돌기와로 지붕을 덮어 올린 집으로
  
주로 정선지방 산 기슭에 매장된 청석맥을 파내어 이용 하였다고 한다.


 

     정선 지방의 전통 민가 중 하나인 저릅집이라고 한다.
   
대마의 껍질을 벗기고 난 줄기를 짚 대신 이엉으로 이은집을 일컬으며 
    겨릅집이라고도 한다.
   
주로 정선과 삼척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속이 빈 저릅 대궁이
    단열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다고 한다.

    너와집...
  
백년 이상 자란 소나무토막을 쪼갠 널판으로 지붕을 이은 정선지방의 전통민가이다,

 


아우라지 뱃사공

강원도 2011. 3. 3. 17:27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네주게

 싸리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

 떨어진 동백은 낙엽에나 쌓이지

 사시상철 임 그리워 나는 못살겠네

 

                  - "정선 아리랑" 중에서-

 

 

   강을 사이에 두고 사랑을 나눈 두 남녀의 애절한 사랑이

   정선 아리랑 가사에 절절히 녹아 있다.

   두 남녀가 싸리골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장마로 인하여 건너지 못하게 되자 이를 그리워 하며 읊은 구절이

   정선 아리랑 가사라고 한다.

 

 

    손만 벌려도 닿을 듯한 지척인 이 거리를

    갈 수가 없는 그 사람의 마음을 누가 알 수 있으리...

    아마도  당시의 뱃사공 아저씨는 알고 있었으리라!!!

    정선 아리랑 가사의 뱃사공은 

    장구를 참 잘치셔서

    지장구 아저씨로 불리셨다고 한다.

    또한 정선 아리랑을 아주 잘 부르는 명창이었다고 한다. 

 

   저 손에 있는 헤어진 장갑을 보면

   그 간의 삶의 애환이 녹아 있는 듯 하다.

   강을 건너면서 읊어 주던 한 마디 한 마디의 말이

   우리를 기나긴 추억으로의 여행으로 안내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