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척이 인천에 있어서
아주 어렸을때 덜컹거리는 전철을 타고 인천엘 자주 갔었다.
그때만 해도 전철타고 인천에 간다는 것은
아주 먼 여행을 떠나는 것 같았다.
지금처럼 높이 솟은 빌딩과 아파트들이 많지 않았던 시절...
그리고 거의 대부분 지하가 아닌 지상으로 다녀서
어렸을 때의 나는 인천으로 가는 1호선만 타면 전철의자에 거꾸로 앉아
창문에 팔과 턱을 받히고 스치듯 지나가는 풍경을 바라보고 했었다.
지금도 아주 가끔씩은 1호선을 탈때마다
어렸을때의 기억이 가끔 솟아나
몸을 틀어 창문에 스쳐 지나가는 모습들을 바라보고는 한다.
하지만 이 곳을 통해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은
그런 느낌들을 받기가 쉽지는 않겠지...
어떤 느낌이 들까...

복잡하던 전철안이 인천역에 가까이 가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내려 전철안은 한적하고 여유로운 느낌을 준다.



어렸을때 인천행 열차에 몸을 실을때마다
인천역에 가보지 못한 나는
아주 오래전에 생겼던 이 기찻길의 끝은 어떻게 생겼을까?

전철이 더 이상 가지 못하는 것은 무엇때문에 가지 못할까?
항상 종착연인 인천역이 궁금하곤 했었다.
오래된 역사라 언제든지 신축건물로 바뀔수도 있는 여지가 있기에
없어지기 전에 기록으로 남겨 두고 싶어서
카메라를 들고 종착역인 인천역에 가기 위해 인천행 전철에 올라 탔다.


신호기가 가운데 불이 켜져 있다.
가운데 불이 켜졌다는 이야기는
열차가 바로 출발했거나 아니면 열차가 들어온다는 신호다.


역시 열차가 인천역에 들어온다.
아마도 저 열차는 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내리면서
3시간 가까이 달려 왔겠지...


똑같은 방향의 열차!!!
어느 열차를 먼저 타야 할까?
아마도 인천역에서만 가능한 선택일런지도 모르겠다.
둘중에 하나를 골라 탔다가 마주편의 열차가 먼저 출발한다면.... ^^






내가 어렸을 때부터 참 궁금했던...
이 기찻길의 끝은 어떻게 생겼을까???
이 곳은 열차가 더 이상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곳이다.


또 얼마 있지 않아 전철이 도착했다.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이 곳은 쉴새도 없이 전철이 들락날락 거린다.


인천역은 아담한 콘크리드 건물로 되어 있다.
1900년도 5월달에 최초로 영업을 시작 했는데
위의 건물은 1960년6월에 신축되었다고 한다.
그것도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여객취급역이라기 보다는
인천항을 통하는 화물을 취급하기 위해 만든 역이라고 한다.
하지만 전철이 들어서면서부터
수도권 통근, 통학자들의 수요을 감당하는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아담한 역사이다 보니
들어오고 나가는 입구가 참 편리하다.
대부분의 현대식 건물에는 계단을 오르고 또 에스컬레이터도 타야 하고
전철타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ㅠㅠ




인천역에 내리면
바로 정면에 짜장면의 원조 차이나타운이 보인다.


또한 인천역 바로 앞에 관광객들을 위한
인천시내와 영종도를 돌아볼 수 있는 시티투어버스도 대기하고 있다.

예전부터 허브 아일랜드를 가보고는 싶었으나
경기도라고는 하지만 가까울거 같으면서도 은근히 먼 거리...
그리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는 참 불편한 곳에 있고
누구말대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장장 3시간 씩이나 걸린다고 해서...
쉽게 갈려고 맘 먹은 곳은 아니었는데~~~
하지만 그래도 가보자 해서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지하철 정보를 총동원해서 가방하나 챙겨들고 출발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허브아일랜드를 갈려면
지하철을 이용해서 소요산역에 내리든지,
아니면 동서울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를 타고 포천터미널에 내려서
거기서 들어가는 방법 두 가지가 있는데
갈때는 좀 저렴한 방법으로 환승이 가능한 지하철로 선택...

우선 가기전에는 허브아일랜드 입구까지 가는 버스 시간표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허브 아일랜드 입구까지 가는 버스는 57번 하나밖에 없는데
소요산역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포천시내에서는 2시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소요산역 출발시간
07:50   08:50   09:50   10:50   11:50   12:50   13:50   14:50   15:50   
16:50   17:50

포천시내에서 출발시간
8:10   10:10   12:10   14:10   16:10   18:10

가장 중요한 버스 시간을 알았으니 그 시간에 맞추어서
소요산역이나 포천터미널로 가면 되겠다.



 환승이 가능한 지하철로 이동을 했다.
 하지만 소요산역으로 가는 지하철도 자주 있는게 아니다.
 평균 40분 간격으로 다녀서 바로 앞에서 소요산행을 놓쳐버리면
 4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지하철 안에서 파아란 와이파이 표시가 빵빵하게 켜져 있길래
 찾아보니 오우~~~ 와이파이 존이닷!!!
 이제는 지하철에서도 와이파이가 되네!!!


 시간이 좀 남고 해서 동두천역에서 내렸다.
 동두천역에서 신탄리까지 가는 CDC통근열차!!!
 이제는 전철에 모든 것을 내어 주고  유일하게 남아있는 CDC통근열차다. 


 동두천역에서는 길을 건너갈 필요 없이 바로 앞 광장에서 버스를 타면 된다.
 소요산역에서는 길을 건너가서 버스를 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히려 소요산 역보다는 동두천 역에서 버스를 타는 것이 더 쉬워 보인다.
 소요산역에서 매시50분에 출발한다면 동두천역에서는 매시45분쯤에 출발한다. 


 허브 아일랜드로 가는 57번 버스!!! 
 대략 동두천역에서 허브 아일랜드입구까지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버스에서 내리면 이렇게 친절하게도 이렇게 들어가는 입구 표시가 되어 있다.
 심정초등학교 방향으로 300M정도 들어가면 되리라~~~


  좁은 전형적인 시골길을 따라서 들어가다 보면~~~


 드디어 허브아일랜드 도착!!!
 시간을 재보니 대략 2시간 45분정도 걸렸다.
 경기도에 있지만 역시 가까운 거리는 아니야!! ㅠㅠㅠ

 
 갈때는 지하철로 갔으니 올때는 포천터미널로 가서 시외버스를 이용해보았다.
 허브아일랜드에서 포천시내나 소요산 역으로 나오는 시간도 확인 필수!!!


 허브아일랜드 출발시간(소요산역방면)
  08:30   09:30   10:30   11:30   12:30   13:30   14:30   15:30   16:30   17:30
  18:30   19:20

 허브아일랜드 출발시간(포천시내방면)
  08:30   10:30   12:30   14:30   16:30   18:30   20:15   20:50   

 


 포천터미널에서는 동서울로 가는 버스는 자주 있다.
 터미널 앞에서는 의정부로 가는 시내버스도 자주 보인다.
 동서울터미널까지 시외버스를 타면 1시간 반 정도 소요되고
 요금은 6천원이다.
 비용은 좀 들겠지만 28석이라 편하게 갈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